본문 바로가기
일기

안타까운 이태원 핼러윈 축제 압사 사고에 대한 단상 및 압사 사고 대처요령

by swimi 2022. 10. 31.

 

 

주말 동안 정말 가슴 놀라는 사고가 있었네요

현재 시간 기준으로 154명의 사망자가 발생하고 

부상자도 130여 명이라고 합니다

밤 사이 너무 많은 사상자가 한꺼번에 나오니

정말 황망하기 이를 데가 없네요

처음 뉴스를 들었을 때 도대체 이게 무슨 일이며

무슨 말을 해야할지 모르겠더군요

 

이태원의 해밀턴 호텔을 둘러 이태원 역으로 가는

경사로 골목에서 벌어진 일인데

첫 노마스크 야외 행사여서인지 어쩐지

엄청난 인파가 몰려들었다고 해요

평소에도 그 골목은 주말마다 사람들로 엄청 붐볐다고 하니

핼러윈 축제 당시엔 얼마나 많이 몰렸을까 싶네요

정말 안타깝습니다

 

압사 사고는 드물기는 해도

또 종종 일어나기도 하는 사고라고 해요

평소 안전 교육은

화재나 자연재난 이런 쪽에 집중되어 있다 보니

인파가 많이 몰렸을 경우 생길 수 있는 안전사고에 대해

젊은 친구들은 잘 몰랐을 수도 있을 거 같아요

 

예전에 1960년대에는 서울역 계단에서 단체로 넘어져

31명이 사망하는 압사 사고도 있었고

1990년도에는 해외의 사우디아라비아에서

메카로 향하던 순례객 1,426명의 사망자가 발생하기도 했었죠..

 

즉 사람이 몰리는 곳에서는 질서를 지키지 않거나

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

이런 사고가 얼마든지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죠

 

또한 사고 장소의 기울기도

피해 규모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해요

경사가 중간에 단층이 없이 쭉 이어지거나

기울기가 높을수록 떠밀리는 힘이 커져서

압사 피해 규모가 커진다고 해요

물론 평지라고 해서

압사 사고가 안나는 것도 아니기에

어떤 곳이든 조심해야겠죠

 

만약 사람들이 많이 몰릴 것이 예상되는 곳이라면

가능한 한 그 장소를 피해서

인파에 휩쓸리지 않도록 하고

어쩔 수 없이 휩쓸리게 됐고 압박이 가해지면

그 힘을 정반대로 버티려 하지 말고

대각선이나 옆으로 이동하여

최대한 가장자리나 벽 쪽으로 가세요

 

만약 옴짝달싹 할 수 없는 상황에서

뒤에서 미는 힘이 강하게 압박해오면

팔짱 끼고 가슴 앞으로 들어 올려 기마자세 하듯이 

가슴과 복부가 숨 쉴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주세요

어깨에서 팔꿈치에 이르는 뼈는

우리 몸에서 강력한 지지대 역할을 하기 때문에

어느 정도의 무게는 버틸 수 있다고 해요

 

그럼에도 불구하고

뒤에서 밀치는 힘에 의해 넘어졌다면 

재빨리 옆으로 돌아 누워서 태아자세를 취하며

손으로 목을 감싸고 다리를 구부려 급소를 보호하고

최대한 압력을 받을 수 있는 부위를 줄여주세요

 

참으로 뭐라 말할 수 없는 안타까운 사고

다시는 일어나지 말아야 하겠습니다

 

 

반응형

댓글